RTS 과정 소개
근골격계 해부학적 지식과 일반적 기능장애 및 손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재활 트레이닝의 기반을 다져라!

RTS Level 1 과정에서는

움직임의 원리와 법칙을 알고 잘못된 움직임을 평가˙분석하여 불균형과 기능 부전에 대해 학습합니다.
근육들이 실제로 어떻게 약해지고 손상을 입게 되어 불균형을 이루게 되는지, 정상적인 움직임을 어떻게 제한하게 되는지에 대해 이해하고 그 원인이 되는 근육을 파악하기 위한
평가 기법을 익힘으로써 기능 부전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는 것이 핵심입니다.

커리큘럼
1. RTS LEVEL 1 을 통해 무엇을 알게 되는가 ?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뼈, 근육, 신경을 알아야 분석 ˙유추 능력을 학습하며, 잘못된 움직임에 대한 가설을 세울 수 있습니다.
잘못된 움직임. 즉, 근육 불균형, 기능 부전을 개선하기 위한 프레임 전략이 가능합니다.
2. Palpation & Landmark 테크닉 – 스크리닝
기법으로 문제의 범위를 찾아간다.
큰 근육부터 작은 근육까지, 겉 근육부터 속 근육까지 손으로 확인하여 불균형 및 기능 부전 이론 학습을 체득 학습으로 익히게 됩니다.
3. Muscle manual test – 근기능평가를 통해 근육의
상태를 측정하고 운동 전략에 적용한다.
근력, 좌우 근력의 밸런스, 보상 패턴, 수축 타이밍, 통증 등의 분석 테크닉을 학습하며, 운동 전략에 반영하기 위한 기준과 지표를 측정 해봅니다. 불균형과 기능부전에 맞는 프레임(구조) 전략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 총 교육시간 : 24시간

- 평일반 : 화~금, 09:00 ~ 12:00, 8일간 (2주)

- 주말반 : 토~일, 13:00 ~ 19:00, 4일간 (2주)


운동 손상에 대한 실기적인 솔루션을 다루다 !

RTS Level 2 과정에서는

관절의 가동성과 안정성에 대해 학습하며, 가동성/안정성 관련 신드롬을 통해 이해하고 가동성과 안정성에 대한 현장 적용이 가능한 검사 기법을 학습하여 문제를 찾을 수 있습니다.
검사 기법을 통해 발견한 불균형 및 기능 부전에 대해 해결이 가능한 매뉴얼 테크닉과 결합된 운동 전략을 학습하게 됩니다.

회원의 가동성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ROM(Range of Motion) 검사와 LMT(Muscle Length Test), Special Test를 진행합니다.
또한 어깨, 경추, 체간, 고관절에 대한 가동성 평가와 부족한 가동성을 회복하기 위한 테크닉, 그리고 코어 안정화 운동법 까지 다루는 실기 과정이며 단순히 머리로만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과제물과 실기 시험을 통해 실제로 회원에게 적용해보고, 회원에게 보여줄 수 있는 결과물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키웁니다.

커리큘럼
1. 트레이닝 시 가동성과 안정성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
이상적인 관절의 가동성과 안정성의 의미를 학습하며, 가동성/안정성이 관절과 움직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 학습하고 습득하게 됩니다.
2. 관절의 가동성 검사와 움직임 패턴 검사, 연부 조직
활주 검사는 무엇을 보기 위함이며, 어떻게 적용하는가 ?
움직임의 불균형을 평가하여 문제를 찾기 위한 4Type(가동성/패턴/근길이/연부조직활주) 검사를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학습하게 되며, 평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재활 운동 세부 전략을 기획할 수 있습니다.
3. 가동성 향상 & 기능 부전(불균형) 재활 테크닉과
재활 운동법을 실무에 적용하여 결과를 제시한다.
재활 테크닉 응용부터 재활 운동까지 전략적인 프로토콜을 작성할 수 있게 되며, 현장에 적용하여 명확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재활 운동 프로그램 설계가 가능합니다.
4. 코어 안정화를 어떻게 평가하며,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가 ?
코어의 로컬, 글로벌 근육의 안정화 전략을 학습하며, 3단계 코어 안정화 프로토콜의 메소드를 학습하여 활성화, 동수축, 협응 능력을 획득하는 적용 기술을 습득합니다.

- 총 교육시간 : 36시간

- 평일반 : 화~금, 09:00 ~ 12:00, 12일간 (3주)

- 주말반 : 토~일, 13:00 ~ 19:00, 6일간 (3주)


강력한 상지의 움직임과 정교한 운동 조절의 끝판왕 !

RTS Level 3(상지) 과정에서는

상지를 이용한 강력한 힘과 정교한 조절 능력은 서로 다른 개념 같지만 실제로는 공존하는개념 입니다.
어떻게 하면 상지의 강력한 힘과 조절하는 능력을 공존하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운동 메커니즘을 학습합니다.
또한, 현장에서 주로 만나게 될 움직임 손상 CASE (충돌증후군,손목터널증후군, 테니스 엘보우) 에 대해 알아보고 가동화 전략, 안정화전략, taping 등을 통한 solution을 알아봅니다.

커리큘럼
1. 상지 관절들의 운동학과 운동손상학 알아보기
A. 어깨 복합체는 어떻게움직임을 만들어 내는가 ?
SC / AC / ST / GH Joint osteokinematics & arthrokinematics

B. 어깨 복합체의 움직임 손상 CASE의 증상은 무엇인가 ?
impingement syndrome
rotator cuff tear
GH Anterior glide syndrome

C. 팔꿈치와 손목은 어떻게 힘을 주고받는가 ?
Forearm supination & pronation
wrist flexion & extension
2. 상지 관절들의 가동화전략과 안정화 전략 실습하기
A. 관절 가동화 기법과 신경 가동화 기법 실습
Median nerve mobilization
SC Joint mobilization

B. 강력한 힘과 정교한 조절을 위한 관절 안정화 운동 실습
Serratus anterior
trapezius coordination exercise

C. 보조기로서의 taping과 촉진을 위한 taping 실습
Tennis elbow taping
serratus facilitation taping

- 총 교육시간 : 24시간

- 평일반 : 화~금, 09:00 ~ 12:00, 8일간 (2주)

- 주말반 : 토~일, 13:00 ~ 19:00, 4일간 (2주)

척추측만부터 천장관절부정렬까지 척추재활운동의 모든 것 !

RTS Level 3(척추) 과정에서는

우리 몸이 축이 되는 척추는 팔다리가 움직일 때 잘 고정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척추의 고정하는 능력이 상실되었을 경우 목과 허리에 직접적인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상지와 하지의 움직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팔다리가 움직일 때 척추를 고정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알아봅니다.
척추의 복잡한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 관절의 움직임을 배우는 운동학에 대해 배우고, 척추의 움직임 손상이 나타났을 때 증상과 CASE를 해결하는 가동화전략, 안정화전략, taping 등을 이용한 solution 을 알아봅니다.

커리큘럼
1. 척추의 운동학과 운동손상학 알아보기
A. 척추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
craniocervical
thoracic
lumber arthrokinematics

B. 척추 움직임 손상 CASE의 증상은 무엇인가 ?
flatback
HIVD
stenosis
cervical extension syndrome

C. 천장관절 부정렬은 척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SI Joint malalignment
flare / rotation / slip

D. 척추측만과 골반통은 어떻게 접근하는가 ?
pelvic girdle pain
scoliosis
principle of schroth
2. 척추 가동화 전략과 안정화 전략 실습하기
A. 관절가동화 기법과 신경가동화 기법 실습
cervical extension SNAGS, SI Joint MET

B. 근막 트레이닝을 통한 코어 안정화 운동 실습
anterior oblique system
inner core system

C. 척추측만 개선을 위한 슈로스 운동법 실습
schrcth
3-curve
4-curve

- 총 교육시간 : 24시간

- 평일반 : 화~금, 09:00 ~ 12:00, 8일간 (2주)

- 주말반 : 토~일, 13:00 ~ 19:00, 4일간 (2주)

고관절 - 무릎 - 발목 - 발의 연결고리, 하지 재활운동 마스터 !

RTS Level 3(하지) 과정에서는

보행을 위해 존재하는 하지 (lower extremity) 관절들은 서로 연결성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연결하여 접근해야 합니다.
무릎이라는 관절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주변관절인 고관절과 발목, 발의 움직임이 필요한데, 대표적인 하지운동인 스쿼트를 하기 위해서 고관절의 굴곡과 발목의 배측굴곡이 나와야 합니다.
단순히 움직임만 같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힘 또한 주고받고 있는데, 이를 이해하기 위한 운동학에 대해 알아봅니다. 또한 하지에서 가장 흔한문제인 슬개대퇴통증증후근(PFPS), 편평발(pes planus)과 같은 움직임 손상 CASE에 대해 알아보고 가동화전략, 안정화전략, taping 등을 이용한 solution을 알아봅니다.

커리큘럼
1. 하지관절들의 운동학과 운동손상학 알아보기
A. 고관절은 하지의 움직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hip osteokinematic & arthrokinematics

B. 무릎 관절이 아픈 이유는 무엇인가 ?
patella dystracking
dynamic valgus

C. 발목과 발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
subtalar joint & transversetarsal joint movement

D. 이상근증후근, O/X 다리, 편평발과 같은 CASE의 해결 방안은 ?
piriformis syndrome
genu valgus
pes planus
PFPS
2. 하지관절들의 가동화 전략과 안정화 전략 실습하기
A. 관절가동화 기법과 신경가동화 기법 실습
hip flexion joint play
tibiofemoral Joint anterior glide MWM

B. 통합적인 관점에서 본 하지 안정화 운동
short foot
anti-dynamic valgus
nordic hamstrings curl

C. 보조기로서의 taping과 촉진을 위한 taping 실습
arch taping
mcconll taping
pes anserinus taping

- 총 교육시간 : 24시간

- 평일반 : 화~금, 09:00 ~ 12:00, 8일간 (2주)

- 주말반 : 토~일, 13:00 ~ 19:00, 4일간 (2주)

기능접 접근을 통해 통증의 원인을 찾고,
해결을 위한 올바른 트레이닝 전략법을 선택하자 !

RTS E.S(평가) 과정에서는

자세, 보행 및 움직임 패턴 검사와 같은 전체적인 움직임 검사를 하고 이를 통해 부분의 문제를 찾아내는 과정으로써, 전체 움직임 문제가 부분의 가동성의 문제인지 운동 조절 실패인지 확인하는 검사를 실습합니다.

또한 자세, 보행 및 전체 움직임 패턴 검사를 통해 관절에서 발생하는 움직임 손상, 통증, 기능부전을 각각 분류하고 운동처방사, 필라테스 강사, 요가 강사 등 현장의 재활트레이너 분들께 재활 트레이닝의 명확한 기준점을 제시해줍니다.

커리큘럼
1. 움직임과 통증이 동반된다 : 운동손상(M.I.S)의 이해
A. 운동손상(movement inpairment syndrome) 개념
B. 통증의 분류 : 화학적 통증 VS 기계적 통증
C. 인간움직임시스템 (human mvement system)
관절의 분류
골운동형상학(osteokinematic) VS 관절운동형상항(arthrokinematic)
기능적인 관절 중심화(functional joint centration)
지역적 상호의존 : 개별적인 접근법(joint by joint)

D. 신경계 (인체에 메세지를 보내자)
신경계 분류 : 중추신경계(C.N.S) 와 말초신경계(P.N.S)
수용기 : 시각, 전정계, 체성감각
운동단위(motor unit)

D. 근육계 (골격계와 신경계 교차로)
근육의 분류 : 골격근, 심장근, 내장근
위상성근육(phasic muscle) VS 긴장성근육(tonic muscle)
근육불균형(muscle imbalance)
상/하부 교차증후군(upper/lower cross syndrome)
2. 운동손상의 원인을 찾자 - 검사법
A. 움직임의 토대 - 자세검사
B. 인간만이 갖는 가장 기능적인 움직임 - 보행검사
C. 잘못된 움직임 패턴을 찾자 - 움직임 패턴 검사
경추패턴
상지 D1, D2 패턴
다분절 굴곡/신전/회전 패턴
한 다리 지지 패턴
오버헤드스쿼드 패턴
3. 검사를 통한 해결전략
A. 3가지 메커니즘을 이용한 가동화전략 연부조직 유연성(soft tissue flexibility) 해결을 위한 가동화 전략
체표면 활주기능(sliding function) 해결을 위한 가동화 전략
관절 운동형상학(arthrokinematic) 해결을 위한 가동화 전략

- 총 교육시간 : 24시간

- 평일반 : 화~금, 09:00 ~ 12:00, 8일간 (2주)

- 주말반 : 토~일, 13:00 ~ 19:00, 4일간 (2주)

어떻게 움직일 것인가!
운동전략(movement strategy) 수행의 최적화!

RTS E.S (운동) 과정에서는

좋은 움직임을 만들거내기 위한 접근을 ‘운동’을 통해 시작합니다.
움직임의 시작과 끝이라할 수 있는 ‘호흡’에 대한 평가와 개선 방법부터 시작하여 가동화, 안정화, 활성화 전략 움직임 패턴 개선, 신경근 운동까지 잃어버린 기능들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재활 트레이닝 현장에서 필요한 기능성 트레이닝을 학습합니다.

커리큘럼
1. 움직임의 시작과 끝, 호흡 : 호흡평가 및 개선방법
A. 호흡 평가
B. 5단계에 걸친 호흡 개선법
2. 정상가동범위부터 회복하자!
: 3가지 메커니즘에 기반을 둔 가동화 전략
A. 가동화 향상을 위한 3가지 메커니즘
연부조직 유연성(soft tissue flexibility)
체표면 활주기능(sliding function)
관절 운동형상학(arthrokinematic)

B. 체간 가동화 운동
C. 모빌리티 밴드를 활용한 상지 가동화 운동
D. 모빌리티 밴드를 활용한 하지 가동화 운동
3. 아기로 돌아가 움직임을 다시 배우자
: 발달학에 기반한 복압(I.A.P) 및 시상면 안정화 전략
A. 발달학적 관점에서 본 운동학습(motor learning)
시상면 안정화(sagittal stability)
분리된 상하지 움직임(differentiation)
이동(locomotion)

B. 동적신경근안정화(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 훈련
4. 근육에 스위치를 켜자 : 활성화 전략
A. 고유수용기를 이용한 떨어뜨리기 그리고 잡기(catch&drop) 운동
B. 초기 활성화 운동
C. 근 좌상 및 염좌 재활 및 예방 운동
5. 관절을 견고하게 : 안정화 운동 및 움직임 패턴 학습
A. 동시수축을 이용한 율동적 안정화(rhythmic stabilization) 훈련
B. 체간 안정화(bracing sequence)
C. 토크를 이용한 상지 안정화 전략
수직 밀기 패턴
수직 당기기 패턴
수평 밀기 패턴
수평 당기기 패턴

D. 토크를 이용한 하지 안정화 전략
고관절 우세 패턴
무릎 우세 패턴

E. 상하지 시선 패턴(diagonal pattern)
6. 잘못된 움직임을 바로잡자
: 운동조절기능장애(motor control dysfunction) 교정법
A. 균형잡기전략 : 자세조절(posture control) 훈련
B. 신경근 재활의 꽃 : 반응신경근훈련(reactive neuromuscular training)
C. 마지막 자세 경험시키기 : 역패턴화(reverse patterning)
부록
A. 운동선수 상해예방 및 퍼포먼스 향상을 위한 전략법
동적 관절 중심화(dynamic joint centration) 훈련
플라이오메트릭(plyometric) 훈련

B. 고객의 몸에 딱 맞는 트레이닝을 입히자 - 4 X 4 matrix

- 총 교육시간 : 36시간

- 평일반 : 화~금, 09:00 ~ 12:00, 12일간 (3주)

- 주말반 : 토~일, 13:00 ~ 19:00, 6일간 (3주)

한국인재교육원 송준경 강사
Chief 송준경 강사

재활트레이닝 전문가과정(RTS) Lv1,2,3

뉴만 키네지올로지

통합신경근안정화트레이닝(INS)


서울대학교 대학원 Human Biomechanics 박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Exercise Physiology 석사

경희대학교 스포츠의학과


성신여자대학교 운동재활복지학과 외래강사

국민생활체육회 개발종목 연구원


건강운동관리사 (구.생활체육지도자 1급)-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인재교육원 이진희 강사
RTS 이진희 강사

재활트레이닝 전문가과정(RTS) Lv1,2,3

운동해결전략 과정(E.S)


경희대학교 대학원 스포츠 의·과학 전공 석사


경희대학교 저압·저산소트레이닝 센터 요요인덱스 개발 연구원

경희대학교 저압·저산소트레이닝 센터 장애인 싸이클 국가대표 트레이닝

안양수리복지관 재활운동팀


아카이브아카데미 교육컨텐츠개발 연구원

한국인재교육원 남아공 강사
RTS 남아공 강사

재활트레이닝 전문가과정(RTS) Lv1,2,3

운동해결전략 과정(E.S)


경희대학교 대학원 스포츠 의·과학 전공 석사


경희대학교 Athletic Training Center 재활 트레이너

경희대학교 Athletic Training Center 연구원


아카이브아카데미 교육컨텐츠개발 연구원

한국인재교육원 김재관 강사
RTS 김재관 강사

재활트레이닝 전문가과정(RTS) Lv1,2

운동해결전략 과정(E.S)


고려대학교 사회체육학부 학사


동탄통증의학과의원 운동처방사 운동실 실장

분당뽀빠이의원 (구. 지안재활의학과의원) 운동처방사


아카이브아카데미 교육컨텐츠개발 연구원


건강운동관리사 (구.생활체육지도자 1급)-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인재교육원 김재원 강사
RTS 김재원 강사

재활트레이닝 전문가과정(RTS) Lv1


경기대학교 학사


아카이브아카데미 교육컨텐츠개발 연구원


NSCA CSCS

NASM CES

ACSM CPT


생활체육지도자2급 (구.생활체육지도자 3급) - 국민체육진흥공단

PMA™ Certified Pilates Teacher